안녕하세요! 오늘은 기존에 작성한 신의 탑: 새로운 세계 리뷰 두 번째 편으로, 캐릭터 관련 게임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.
참고로 해당 리뷰는 2024.01.02을 기준으로 작성된 게임 분석으로, 신의 탑 IP 활용, AFK 아레나식 방치형 게임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:)
콘텐츠 외 게임 분석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[게임 분석] 신의 탑: 새로운 세계 - 1
안녕하세요! 오늘 가져온 게임 분석은 신의 탑: 새로운 세계 입니다.해당 리뷰는 2024.01.02을 기준으로 작성된 게임 분석으로, 신의 탑 IP의 활용, AFK 아레나식 방치형 게임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
g.yhj9855.com
캐릭터 외 콘텐츠 분석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[게임 분석] 신의 탑: 새로운 세계 - 3
안녕하세요! 오늘은 기존에 작성한 신의 탑: 새로운 세계 리뷰 세 번째 편으로, 캐릭터 외 콘텐츠 관련 게임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!참고로 해당 리뷰는 2024.01.02을 기준으로 작성된 게임 분석
g.yhj9855.com
출시 일자 : 2023.07.26
출시 국가 : 한국
제작사 : 넷마블
플랫폼 : 모바일
달성도 : ★★★★☆
시작 시점 : 2023.07.26
장르 : 수집형, 방치, IP 게임, 서브 컬쳐, RPG
평균 플레이 시간 / 플레이 기간 : 2시간 / ~2024.01.02
캐릭터 등급
- R, SR, SSR, SSR+ 등급의 캐릭터 존재
- 캐릭터 숙련도 6을 달성할 경우, 아이템을 사용하여 캐릭터의 등급을 올릴 수 있음
○ 캐릭터 등급은 SSR까지 올릴 수 있으며, SSR캐릭터는 등급을 올릴 수 없음
○ SR 캐릭터를 SSR로 등급 업 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
캐릭터 역할
- 서포터, 원거리, 탱커, 마법사, 전사, 암살자 총 6가지 캐릭터 역할이 존재
- 역할 당 상성이 존재하지는 않지만, 일부 콘텐츠에서 특정 역할을 배제하는 경우가 있음
캐릭터 속성
- 황속성, 자속성, 적속성, 청속성, 녹속성 총 5가지 속성이 존재
- 황속성과 자속성은 서로 역속성의 관계로 상대보다 많은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우위 속성의 역할을 진행할 수 있음
- 녹속성 < 적속성 < 청속성 < 녹속성 우위를 가지고 있음
- 속성 버프 체감이 꽤 크기 때문에 속성 별로 파티를 편성해야 하는 이유를 주고 있음
캐릭터 포지션
- 낚시꾼, 창지기, 등대지기, 탐색꾼, 파도잡이, 특수 총 6가지 캐릭터 포지션이 존재
○ 캐릭터의 포지션은 웹툰 원작이 기반 - 캐릭터 포지션은 연구소 콘텐츠 외 사용되지 않음
- 길잡이나 특정 캐릭터의 어린 시절의 경우 특수 포지션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있음
캐릭터 타입
- 힘, 지능, 민첩 총 3가지 캐릭터 타입이 존재
- 캐릭터 타입은 삼색의 정수 콘텐츠 외 사용되지 않음
- 캐릭터의 타입은 역할에 기반
○ 힘= 탱커&전사, 지능= 마법사&서포터, 민첩= 원거리&암살자
캐릭터 스킬
- 스킬1, 스킬2, 패시브, 필살기 총 4개의 스킬로 구성
※ 현재는 레볼루션 스킬이라는 스킬이 새로 추가됨 - 캐릭터 돌파 시 스킬 레벨 업이 가능하며, 5레벨이 최대
○ 특정 스킬만 빠르게 레벨을 올릴 수 없음
○ 캐릭터 돌파를 해야하는 큰 이유가 되며, 돌파가 안 된 SSR+보다 돌파가 진행된 SSR을 사용하는 이유가 됨 - 필살기 스킬은 스킬1, 스킬2, 패시브 레벨이 모두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면 자동 레벨 업
캐릭터 돌파
- 동일한 캐릭터 획득 시 캐릭터를 돌파할 수 있음
- 캐릭터 돌파를 통해 스킬 레벨을 올리고, 전투력을 상승시킬 수 있음
- 총 21번 돌파가 가능
- 13번 돌파부터는 캐릭터의 스킬이 아닌 체력, 공격력 등 캐릭터의 스탯을 올릴 수 있음
○ 최소 12번 돌파를 해야 캐릭터 스킬 풀업이 가능
○ SSR 한정 캐릭터 픽업 시, 최소 12번을 돌파해야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었음 - 3, 6, 9, 12, 16, 21 돌파마다 추가적으로 캐릭터 스탯을 획득할 수 있음
캐릭터 뽑기
- 총 5캐릭터를 선정하여 픽업 확률을 올려줄 수 있음
○ SSR 캐릭터만 선정 가능하며, 총 SSR 확률이 올라가는 것은 아님
○ 가장 처음 선택한 캐릭터는 나머지 4개의 캐릭터보다 픽업 확률이 높음 - 100번 뽑기 진행 시 SSR 캐릭터 중 선택할 수 있음 (단, 콜라보 캐릭터는 선택 불가)
- 200번 뽑기를 진행하면 SSR+ 캐릭터를 확정으로 획득할 수 있음
○ 5개의 SSR+ 캐릭터를 선택할 경우, 그 안에서만 캐릭터 획득이 가능
○ 그 이하로 캐릭터를 선택할 수는 없음
○ 캐릭터 선택을 다시 할 수 있는 기회를 1회 제공
캐릭터 일반 장비
- 1, 2, 3, 4 총 4개의 장비가 존재
- 전리품 보상(=방치 보상)을 통해 획득할 수 있음
- 장비는 C, C+, B, B+, A, A+, S 등급이 존재
- 각 장비는 +5까지 강화 가능
○ 강화 아이템 혹은 장비를 사용해서 강화 가능 - 각 장비는 캐릭터와 동일하게 속성을 가지고 있음
○ 장비의 속성과 캐릭터의 속성이 동일할 경우, 장비 능력치가 30% 향상
○ 능력치 향상 폭이 크기 때문에 장비와 속성 변경권을 꾸준히 획득해야하는 이유가 됨
○ 속성 교체는 현재 속성을 포함하여, 랜덤으로 교체 - 각 장비는 특정 아이템을 소모하면, 속성을 변경할 수 있음
○ 속성 교체는 현재 속성을 포함하여, 랜덤으로 교체
캐릭터 전용 장비
- 각 캐릭터의 숙련도를 10레벨로 올리면 획득할 수 있는 장비
- 숙련도를 올리는 것이 어렵지 않아, 생각보다 빠르게 캐릭터 전용 장비 획득 가능
- 전용 장비는 40레벨까지 강화 가능
- 1레벨, 10레벨, 20레벨, 30레벨, 40레벨마다 특수 효과를 얻을 수 있음
- 1~10, 11~20, 21~30, 31~40까지 강화 아이템의 종류가 다름
○ 31~40까지는 속성 전용 강화 아이템을 사용해야 강화 가능
○ 속성 전용 강화 아이템을 얻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끝까지 강화하는 것이 어려움
시동무기
- 캐릭터마다 전용 장비 20레벨 달성 시 오픈되는 특수 무기
○ 숨겨친 층 콘텐츠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음 - 총 4가지 세트가 존재
- 슬롯1, 슬롯2, 슬롯3, 슬롯4, 슬롯5 총 5개의 장비가 존재
○ 슬롯마다 주스탯과 부스탯이 다름
○ 슬롯4, 슬롯5는 주스탯이 획득한 장비마다 다름
○ 캐릭터에 맞게 시동무기를 꾸준히 획득해야 하는 이유가 됨 - C, B, A 등급의 장비가 존재
※ 더 높은 장비의 획득 방법은 플레이 하지 못함 - 총 20레벨까지 강화 가능
○ 강화 아이템 혹은 장비를 사용해서 강화 가능
○ 5, 10, 15, 20마다 부스탯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음
○ 캐릭터마다 유효한 부스탯이 다르기 때문에, 시동무기를 꾸준히 획득해야함
숙련도
- 특정 아이템을 소모하여 캐릭터의 숙련도를 올리는 시스템
- 최대 50레벨까지 성장할 수 있음
○ 5, 15, 25, 35, 45마다 추가 스탯을 획득할 수 있음
○ 50레벨을 달성하면 전용 무기를 획득
○ 10, 20, 30, 40마다 캐시 재화를 얻을 수 있음
호감도
- 특정 아이템을 소모하여 캐릭터의 호감도를 올리는 시스템
- 캐릭터마다 호감도를 많이 올려주는 아이템이 다름
- 최대 7레벨까지 성장할 수 있음
- 1~6레벨 마다 캐시 재화와 추가 스탯을 획득할 수 있음
- 레벨이 오를 때마다 필요한 아이템의 수가 증가함
○ 6 → 7로 넘어갈 때는 필요한 아이템이 크게 줄어듦
○ 7레벨 달성 시, 캐릭터 전용 프로필 테두리를 획득할 수 있음
파티
- 5명의 캐릭터로 파티 구성
- 파티는 전열과 후열로 구성이 되어 있음
- 기본적인 파티는 전열 3, 후열 2
○ 그 외에 전열 1, 후열 4인 진형과 전열2, 후열3인 진형이 있음
○ 콘텐츠마다 진형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있음 - 동일한 캐릭터여도, 전열과 후열 배치에 따라 전투 결과가 달라지는 경우도 존재함
여기까지 캐릭터 관련 게임 분석이었습니다!

★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★
'게임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게임 분석] 신의 탑: 새로운 세계 - 3 (1) | 2025.03.05 |
---|---|
[게임 분석] 신의 탑: 새로운 세계 - 1 (1) | 2025.02.24 |
[게임 분석] 명조: 워더링 웨이브 - 3 (7) | 2025.01.24 |
[게임 분석] 명조: 워더링 웨이브 - 2 (8) | 2025.01.19 |
[게임 분석] 명조: 워더링 웨이브 - 1 (3) | 2025.01.13 |